이미지 최적화를 위한 여행기 (1) - 이미지 로딩 최적화

@JiHongKim98· October 24, 2024 · 9 min read

안녕하세요, 팀 Joytas 에서 백엔드 개발 파트를 맡고 있는 hong.kim 입니다.

SNS 서비스인 DAO 서비스 개발을 진행하며, 이미지 로딩 최적화를 이뤄내기 위해 어떤 과정들을 거쳤는지 이번글을 통해 소개해보려고 한다.

초기 이미지 로딩 아키텍처의 문제점

초기 DAO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MVP 단계에서 빠른 구현에 초점을 맞추며, 아래 사진과 같이 이미지 시스템 아키텍처를 최대한 간단하게 가져갔다.

기존 이미지 시스템 아키텍처 (As-Is)
기존 이미지 시스템 아키텍처 (As-Is)

이미지 로드 요청

  • 클라이언트가 S3 Object 엔드포인트로 직접 GET 요청

위 사진과 같이 구성한 이유는 이미지 업로드 자체가 우리 서비스의 메인 기능이 아닌 부수적인 기능이라 판단해 PUT 요청에 대한 최소한의 보안만 고려하여 구성하고 메인 기능에 집중하였다. 또한, 초기 최대 업로드 가능한 이미지 크기는 1MB로 제한함으로 써, 이미지 업로드 및 다운로드 속도를 제어하고 있었다. MVP의 메인 기능들이 완성되고, 휴대폰을 찍은 사진을 많이 올리는 SNS 서비스의 특성상 1MB 용량 제한을 25MB 으로 늘리도록 결정하였고, 이미지 용량 제한이 25배가 증가함에 따라 프론트엔드에서 이미지를 .webp 형식으로 변환하여 업로드하도록 로직을 수정함으로 써, 성능 이슈를 대비하였다.

아래의 .webp로 변환하여 이미지를 업로드 했을 때의 이미지 로드 속도를 봐보자:

1.8MB 의 이미지를 불러오는데 500ms 소요
1.8MB 의 이미지를 불러오는데 500ms 소요

1.8MB 크기의 이미지를 완전히 불러오기까지 500ms 가 넘게 걸리고 있었다. 불러올 이미지의 크기가 20MB가 넘는다면 이미지를 완전히 불러오는 시간은 1000ms 을 가볍게 넘는 것은 물론, 네트워크 대역폭도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이미지를 완전히 불러오기까지 걸리는 최대 시간을 200ms 이내로 들어오도록 목표를 잡았게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을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이미지 시스템 아키텍처를 아래와 같이 개선하면서 다음과 같은 성과를 얻을 수 있었다:

개선된 이미지 시스템 아키텍처 (To-Be)
개선된 이미지 시스템 아키텍처 (To-Be)
개선 후의 이미지 로드 시간
개선 후의 이미지 로드 시간

  • 이미지 로드 요청

    1. 로드 시간(Cache-Hit 기준) : 500ms -> 10ms (응답 시간 약, 50배 개선)
    2. 이미지 크기 : 1.8MB -> 15.8KB (대역폭 약, 99.14% 절약)

DAO 서비스는 아래의 2가지 과정을 거쳐 전반적인 이미지 시스템 아키텍처 개선을 이뤘고, 하나씩 소개하려고 한다.


  1. CDN 도입을 통한 RTT 및 S3 비용 개선
  2. S3 Object Lambda를 통한 이미지 리사이징

CDN 도입을 통한 RTT 및 S3 비용 개선

초기 아키텍처에서 가장 개선이 필요한 부분은 클라이언트가 AWS S3로 직접 원본 이미지 요청을 보내 발생하는 문제였다.

  1. S3 캐싱 기능의 부재 이슈

    • S3 자체에서 캐싱 기능이 없어, 사용자들이 동일한 객체에 접근할 때 매번 S3에서 직접 데이터를 읽어 보내줘야한다.
  2. S3 비용 증가 이슈

    • AWS S3를 사용하면서 객체에 직접적으로 GET 요청으로 처리하면, S3에 대한 데이터 전송 요금이 부과된다.
    • 즉, 1번 이슈와 동일하게 사용자들이 같은 객체에 계속 접근한다면? -> 비용은 계속 카운팅

클라이언트가 S3 로 직접 요청을 보내는 경우, 위 2가지 문제가 가장 큰 걸림돌이였다.

CDN(AWS CloudFront) 도입 고려

캐싱 기능의 부재와 S3에서 발생할 수 있는 비용 증가 이슈는, AWS 에서 제공하는 CDN 서비스인 CloudFront를 통해 개선을 진행할 수 있었다. 아래의 AWS CloudFront에 대한 설명을 봐보자.

CloudFront는 엣지 로케이션이라고 하는 데이터 센터의 전 세계 네트워크를 통해 콘텐츠를 제공합니다. CloudFront를 통해 서비스하는 콘텐츠를 사용자가 요청하면 지연 시간이 가장 낮은 엣지 로케이션으로 요청이 라우팅되므로 가능한 최고의 성능으로 콘텐츠가 제공됩니다.


(출처: Amazon CloudFront란 무엇입니까?)

CloudFront는 정적 이미지를 사용자와 가장 가까운 Edge Location에서 캐싱함으로 써, RTT(Round Trip Time)을 줄일 수 있을 뿐더러, 클라이언트가 S3와 직접 통신하는 것이 아닌 CloudFront의 Edge Location과 통신하고, 결정적으로 CloudFront에서 S3로 요청하는 데이터 송신 비용은 무료이다.

출처: Amazon S3 요금 https://aws.amazon.com/ko/s3/pricing
출처: Amazon S3 요금 https://aws.amazon.com/ko/s3/pricing

정적 컨텐츠의 사이즈가 적을 때, S3만 운영하는 것과 CloudFront와 결합하여 운영하는 것의 비용 차이는 적지만, 정적 컨텐츠의 사이즈가 커질수록 운용 비용의 차이는 커진다. 또한, 클라이언트와 S3 사이에서 CloudFront가 Proxy 역할을 해줌으로 써, 보안적으로 이점을 챙길 수 있다.

(해당 내용의 비용 비교는 이 블로그에서 더 자세히 찾아볼 수 있다.)

S3와 CDN의 결합 전후 로드 시간 비교

CloudFront와 S3를 결합하여 운영할 때의 로드 시간을 봐보자.

CDN(AWS CloudFront) 적용 후의 응답 시간
CDN(AWS CloudFront) 적용 후의 응답 시간

Cache Hit 기준 1.8MB 컨텐츠가 500ms에서 250ms으로 응답 시간이 2배 개선된 것을 볼 수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도 목표한 200ms이내로 이미지 로딩이 완료되지 않고있다.

S3 + CDN(AWS CloudFront)의 한계

정적 이미지를 서빙하기 위해 S3와 CloudFront를 결합한 아키텍처만으로도 좋은 아키텍처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CDN은 RTT만 줄여줄 뿐 근본적으로 이미지의 크기를 줄여주지 않음으로 매우 큰 개선은 어렵다.

따라서, 이미지 크기를 줄이기 위한 추가적인 아키텍처 구성이 필요하다.

S3 Object Lambda를 통한 이미지 리사이징

이미지 리사이징을 위한 추가적인 아키텍처를 구성하기 전, 현재 우리의 서비스를 살펴보자.

이미지 리사이징이 옳은 방법일까?

DAO 서비스의 이미지 랜더링 크기, 미리보기 150x150px와 상세보기 500x700px
DAO 서비스의 이미지 랜더링 크기, 미리보기 150x150px와 상세보기 500x700px

현재, 우리 서비스는 미리보기 이미지에서 150x150 픽셀, 상세보기 탭에서 500x700 픽셀로 랜더링하고 있다. 즉, 이보다 더 큰 이미지일 경우 불필요한 이미지 크기로 인해 페이지의 성능을 저하를 유발한다. 따라서, 클라이언트가 이미지를 랜더링할 때 필요한 크기 즉, 동적으로 이미지를 리사이징함으로 써 응답 시간 및 대역폭을 개선할 수 있다고 기대했다.

동적 이미지 리사이징을 위해 고려한 방법들

나는 앞서 구축한 아키텍처와 동적 이미지 리사이징 서비스를 결합하기 위해 아래의 3가지 방안을 고려했다.

  1. EC2 혹은 ECS 기반의 이미지 처리 서버 구성
  2. Lambda@Edge
  3. S3 Object Lambda

첫번째, 이미지 처리를 위해 별도의 서버를 운영하는 방법은 핵심 기능 외에 추가적인 관리 포인트가 늘어나고 유휴 시간 동안 발생하는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서버리스 환경 즉, AWS Lambda를 사용하는 방법으로 기울게 되었다. 또한, Edge Location에 리사이징된 이미지가 캐싱되어 있다면 Lambda가 동작하지 않아 추가적인 비용 절감 효과도 기대했다.

두번째, Lambda@Edge를 사용하여 이미지 리사이징을 구현할 때 전 세계 모든 Edge Location에 리사이징된 이미지를 캐싱하므로 글로벌 리전이 필요한 경우 매우 유용하게 작용할 수 있다.

Lambda@Edge 와 Lambda Function 가격 비교 (출처: AWS Lambda 비용)
Lambda@Edge 와 Lambda Function 가격 비교 (출처: AWS Lambda 비용)

하지만, Lambda@Edge는 Lambda Function에 비해 대략 3배의 비용이 발생하며, 우리 서비스는 글로벌 리전은 필요하지 않으므로 최종적으로 S3 Object Lambda를 사용하여 동적 이미지 리사이징 아키텍처를 구축하기로 결정했다.

S3 Object Lambda를 통한 이미지 리사이징 적용

본 글에서 사용한 Lambda Function의 코드는 깃허브 리포지토리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제, DAO 서비스에서 어떻게 S3 Object Lambda를 설정했는지 예제를 통해 소개하겠다.

IAM 정책 생성

먼저, Lambda 함수가 S3 Object Lambda Access Point를 통해 S3 버킷에 저장된 객체에 안전하게 접근하고, 이를 동적으로 처리한 후 클라이언트(CloudFront)에 반환할 수 있도록 필요한 권한을 부여 하기 위해 아래와 같이 IAM 역할을 생성해줘야한다.

AWS IAM 설정
AWS IAM 설정

위 사진과 같이 AmazonS3ObjectLambdaExecutionRolePolicy 권한을 준 S3ObjectLambdaRole 역할을 만들었다.

이미지 리사이징 Lambda Function 생성

IAM 권한을 만들었다면, 이미지 리사이징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Lambda Function를 만들어주자. 생성할 Lambda Function에 앞서 만들어둔 역할을 부여해줘야한다.

앞서 만든 S3ObjectLambdaRole을 부여
앞서 만든 S3ObjectLambdaRole을 부여

Lambda Function의 실행 환경은 Node.js 20.x으로 설정해줘야한다. 이미지 리사이징에 대한 예제 코드는 CloudFront가 Client의 요청을 받을 때, 리사이징될 높이와 길이에 대한 정보를 쿼리 파라미터로 각각 hw로 받아 리사이징이 수행되도록 하는 로직으로 작성되어있다.

# 이미지를 200x200 으로 리사이징 하고 싶다면 아래와 같이 요청을 보내면 된다.
https://cdn.joytas.io/abcd-efgh?h=200&w=200

(예제 코드가 아닌, 직접 구현한 Lambda Function을 사용할 예정이라면 각자 환경에 맞는 버전으로 설정하면 된다.)

zip 파일로 압축된 Lambda Function 업로드
zip 파일로 압축된 Lambda Function 업로드

완성한 Lambda Function 코드와 실행 환경을 합께 압축하여 위 사진과 같이 .zip 파일로 올려 배포해주자. Lambda Function 코드 배포가 끝났다면, CloudFront가 생성한 Lambda Function을 호출할 수 있도록 리소스 기반 정책과 이미지 리사이징 작업 중 런타임 오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당된 메모리 및 임시스토리지를 늘려줘야한다.

먼저, 리소스 기반 정책 권한부터 설정해보자. 리소스 기반 정책 권한 설정은 "구성"의 "권한"탭에서 설정할 수 있다.

리소스 기반 정책 권한 추가 방법
리소스 기반 정책 권한 추가 방법
보안 주체 및 작업은 사진과 동일하게 설정해주자
보안 주체 및 작업은 사진과 동일하게 설정해주자

보안 주체와 작업을 위 사진과 동일하게 작성함으로 써, CloudFront 서비스에서 생성한 Lambda Function을 호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Lambda Function의 기본 구성을 수정해보자. Lambda Function의 기본 구성의 메모리와 임시 스토리지는 각각 128MB512MB 이며, 제한 시간은 3초로 되어있다.

Lambda Function 기본 설정 변경
Lambda Function 기본 설정 변경

나는 큰 이미지를 리사이징 할 때, 런타임 오류가 발생하지 않게 하기 위해 위 사진과 같이 메모리와 임시 스토리지를 모두 1024MB으로, 제한시간은 5초로 변경하여 설정해줬다.

S3 Access Point 설정

이미지 리사이징 작업을 진행하는 Lambda Function 설정을 완료했다면, 이제 CloudFront가 Lambda Function을 통해 S3 객체에 접근하여 이미지 리사이징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S3 Access Point를 지정해줘야한다. S3 Access Point를 지정해줄 때, 지정할 S3 버킷과 동일한 리전에서 진행해야 하는 것을 주의해야한다.

S3 Access Point 생성
S3 Access Point 생성
S3 Bucket 지정
S3 Bucket 지정

이제, 아래와 CloudFront에 대한 정책을 아래와 같이 같이 부여해주자.

{
  "Version": "2012-10-17",
  "Statement": [
    {
      "Sid": "AllowCloudFrontAccessPoint",
      "Effect": "Allow",
      "Principal": {
        "Service": "cloudfront.amazonaws.com"
      },
      "Action": "s3:*",
      "Resource": [
        "{{ Access Point ARN 기입 }}",
        "{{ Access Point ARN 기입 }}/object/*"
      ],
      "Condition": {
        "ForAnyValue:StringEquals": {
          "aws:CalledVia": "s3-object-lambda.amazonaws.com"
        }
      }
    }
  ]
}

S3 Object Lambda Access Point 설정

다음으로, CloudFront에서 Lambda Function을 트리거 하여 이미지 리사이징 작업을 실행하도록 S3 Object Lambda Access Point를 설정해야한다. S3 콘솔에서 아래와 같이 Object Lambda Access Point를 생성해주자.

Object Lambda Access Point 생성
Object Lambda Access Point 생성

우리는 Lambda Function 이 S3 에 저장된 Origin Image를 요청해 이미지 리사이징을 진행한 후 Client 즉, CloudFront에게 전달해줘야 하므로 이미지 리사이징 Lambda Function과 연결해야 한다. 따라서, S3로 GET 요청 허용을 꼭 체크해주자.

S3 GET 요청 허용 및 Lambda Function 지정
S3 GET 요청 허용 및 Lambda Function 지정

생성한 Object Lambda Access Point에 대한 정책은 CloudFront를 만들고 난 후 다시 설정하도록 하겠다.

생성한 Object Lambda Access Point 별칭
생성한 Object Lambda Access Point 별칭

다만 CloudFront를 생성할 때, 원본 도메인을 Object Lambda Access Point로 지정하여 Lambda Function을 트리거해야 하므로, Alias만 복사하고 넘어가도록 하겠다.

CloudFront 생성

이제 우리는 리사이징할 크기의 정보를 쿼리 파라미터에 포함하여 Edge Location에 캐싱 처리를 진행해야한다. 따라서, 아래와 같이 길이와 높이에 대한 정보를 wh으로 캐싱하도록 새로운 정책을 생성해주자.

쿼리 파라미터를 포함한 CloudFront 캐싱 정책 생성
쿼리 파라미터를 포함한 CloudFront 캐싱 정책 생성

쿼리 파라미터를 포함한 정책을 생성했다면, 이전 단계에서 생성한 Object Lambda Access Point의 별칭을 원본 도메인 이름으로 설정해준다.

Origin Domain 설정
Origin Domain 설정

원본 도메인의 형식은 아래와 같다.

# 아래와 같은 형식으로 지정하면 된다.
{{ 별칭 }}.s3.{{ 리전 }}.amazonaws.com

# Example
object-lambda-access-7t5engtgxwiiyabj4w6utkygapn2a--ol-s3.s3.ap-northeast-2.amazonaws.com

또한, Object Lambda Access Point는 public하게 설정할 수 없기 때문에, OAC를 통해 원본에 대한 요청을 인증할 수 있도록 해줘야한다. 따라서, 아래와 같이 OAC를 생성하고 Origin Access Control로 설정해주자.

OAC 생성 및 Origin Access Control과 연결
OAC 생성 및 Origin Access Control과 연결
새로운 OAC 추가
새로운 OAC 추가

마지막으로, 앞서 생성한 쿼리 파라미터 기반의 캐싱 정책을 기본 정책으로 선택하여 생성해주면 CloudFront 설정을 마무리할 수 있다.

CloudFront: 쿼리 파라미터 기반의 캐싱 정책 설정
CloudFront: 쿼리 파라미터 기반의 캐싱 정책 설정

CloudFront의 대체 도메인 설정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S3 Object Lambda Access Point 및 S3 Bucket 정책 부여

이제, CloudFront가 Object Lambda Access Point을 원본 요청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Object Lambda Access Point 및 S3 Bucket 정책을 각각 업데이트 해주자. 각 정책들은 아래와 같이 설정한다.

# Object Lambda Access Point의 정책

{
  "Version": "2012-10-17",
  "Statement": [
    {
      "Effect": "Allow",
      "Principal": {
        "Service": "cloudfront.amazonaws.com"
      },
      "Action": "s3-object-lambda:Get*",
      "Resource": "{{ Object Lambda Access Point ARN 기입 }}",
      "Condition": {
        "StringEquals": {
          "aws:SourceArn": "{{ CloudFront ARN 기입 }}"
        }
      }
    }
  ]
}

아래의 S3 Bucket에 대한 정책에서 사용자 ARN은 현재 작업 중인 계정의 IAM 사용자 또는 역할 ARN을 넣어줘야한다.

# S3 Bucket 정책

{
  "Version": "2012-10-17",
  "Id": "Policy1234567890",
  "Statement": [
    {
      "Sid": "S3ObjectAccessPoint",
      "Effect": "Allow",
      "Principal": {
        "AWS": "*"
      },
      "Action": "*",
      "Resource": ["{{ S3 Bucket ARN 기입 }}", "{{ S3 Bucket ARN 기입 }}/*"],
      "Condition": {
        "StringEquals": {
          "s3:DataAccessPointAccount": "{{ 사용자 ARN 기입 }}"
        }
      }
    }
  ]
}

그림의 계정 ID를 S3 Bucket 정책에 추가
그림의 계정 ID를 S3 Bucket 정책에 추가

이로써, S3 Object Lambda 아키텍처를 성공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달성한 성과

나는 클라이언트가 S3로 직접 요청했던 아키텍처에서 CDN과 S3 Object Lambda를 결합한 아키텍처를 도입하여 아래 사진과 같이 원본 이미지에 비해 약 99.69%, .webp 압축에 비해 약 99.14%의 압축률을 얻었다.

개선된 이미지 압축률
개선된 이미지 압축률

또한, 불필요한 대역폭이 줄어들어 AWS Data Transfer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었고, 클라이언트에서는 .webp 압축만 진행했을 때에 비해 TBT(Total Blocking Time)가 약 98% 감소하여, 이전보다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서비스를 이용 수 있게 전반적인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켰다.

마무리 하며

나는 이미지 로딩 최적화 부분은 항상 프론트엔드에서의 영역이라고만 생각했고, 보안적으로 큰 문제가 생기는 것이 아니라면 큰 관심을 가지지 않았다. 그러나 SNS 서비스인 DAO를 운영하면서 이러한 관점이 얼마나 부정적인 영향를 미칠 수 있는지 깨닫게 되었다. 또한 백엔드 개발자로써, 서버리스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비용을 고려하지 않는 채로 직접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는 데만 집중해왔다. 이번 기회를 통해 서버리스를 무조건 배제하기보다는, 서비스 특성에 맞는 기술을 신중하게 채탱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다시금 깨닫은 기회였다.

Ref.

https://incheol-jung.gitbook.io/docs/q-and-a/infra/cloudfront-s3
https://aws.amazon.com/ko/blogs/korea/new-use-amazon-s3-object-lambda-with-amazon-cloudfront-to-tailor-content-for-end-users/
https://medium.com/musinsa-tech/s3-object-lambda를-이용한-on-demand-이미지-변환-서비스-소개-5e3650cc27a9

@JiHongKim98
Hello :) This is JiHongKim98's tech blog